o 태양광선의 생리적 효과
- 자외선(~340nm) = 오존층 흡수
- 적외선(760nm~) = 탄산가스와 수분에 흡수
* 자외선과 적외선 사이 = 가시광선(340~760nm)
가시광선 = 지상에 내려와 영향
* 1,000lx <= 고에너지 광효과 / 100lx >= 저에너지 광효과(광주기, 굴광성)
생리적 효과(3가지) : 광질(파장), 광도(lx), 일장(광주기)
o 광주기
- 광주기 → 낙엽 : 튤립나무
- 온도 → 낙엽 : 아까시, 자작
** 북위도 : 낮이 길다, 저위도 : 낮이 짧다.
o 주광성
* 햇빛을 한쪽만 비춰주면 옥신이
햇빛의 반대방향으로 이동하여 새포의 신장을 촉진
자엽초가 구부러지게 하는것
o 굴지성
* 뿌리가 밑으로 자리는 원리
** 나무의 수간과 꽃은 굴지성의 정반대인 반굴지성을 나타냄
*** 수평근이 밑으로 구부러지는 원리 : 옥신이 뿌리의 아래쪽으로 이동하여 아래쪽 세포의 신장을 억제하고 위쪽의 세포가 비교적 빨리 자라게 됨
▷ 줄기에서의 옥신 농도가 높으면 생장이 촉진되지만
▷ 줄기에서의 옥신 농도가 높으면 생장이 억제된다요
o 광색소
1. Phytochrome
- 분자량이 각각 120,000da 가량 되는 두 개의 동일한 polypeptide로 구성
- pyrrole이 4개 모여 이루어진 발단색을 가지고 있음
- 암흑 속에서 기른 식물체내에 가장 많은 양이 있고
햇빛을 받으면 합성이 안되거나 파괴됨
- 뿌리를 포함한 생장점 근처에 가장 많이 존재(세포질과 핵 속에도 존재)
*** 파이토크롬은 각각 파장 660nm, 730nm의 빛에 따라 활성화가 달라짐
활성 상태가 되면 광주기 현상, 종자휴면, 광형태 변화 등을 지배하게 됨
식물은 pfr과 pr의 상대적 비례로써 밤의 길이를 측정함
암흑상태가 되면 pfr은 pr로 천천히 환원
형태 | 조건 | 내용 |
pr(비활성형태) | 730nm 파장 | 대부분이 pr로 존재 전체의 99%가 pr |
pfr(활성형태) | 660nm 파장 | 대부분이 pfr로 존재 전체의 80%가 pfr |
식물 생리반응의 스위치 역할!
2. Cryptochrome
- 주광성에 관여하는 색소
- 320~450nm의 파장(보라색~청색)
3. 고광도 반응(HIR)
- 종자발아, 줄기의 생장억제, 잎의 신장생장, 색소 합성에 관여
- 적색광, 원적색광에 의한 상호환원이 안됨
- 청색, 적색, 원적색 부근에 1개 이상의 흡광정점을 가지고 있음
4. 엽록소
- 대부분 엽육세포에 들어있으나, 어린가지의 수피와 어린과일에도 있음
- Pyrrole이 4개 모여서 고리를 만들고 4번째 Ptrrole분자에 긴 꼬리 모양의 phyrol이 부착되어 있음
- 비극성 화합물이기 때문에 물에는 잘 녹지 않으며, 에테르에 잘 녹는 지질화합물임
5. 카로테노이드(carotenoids)
- 이소프레노이드(isoprenoid) 화합물의 한 종류
- 식물에게 노란색, 오렌지색, 적색 등을 나타내는 광합성 보조색소
- 광산화 작용에 의한 엽록소의 파괴 방지
'방구석1# 나무의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나무의사] 수목생리학 요약정리 : 호흡 (0) | 2022.04.25 |
---|---|
2022년 충남대 수목진단센터 나무의사 및 수목치료기술자 양성교육과정 정리 (0) | 2022.04.10 |
나무의사 요점 정리 ::: 수목생리학 (0) | 2021.03.09 |
나무의사 시험 과목 분석 및 공부방법 (0) | 2021.02.16 |
나무의사 ::: 시험과목 및 양성기관 (0) | 2021.02.01 |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