수목의 기본구조
영양구조(잎, 줄기, 뿌리) / 생식구조(꽃, 열매, 종자)
* 영양구조는 영양분을 만들거나 이동시키는 기관
* 생식구조는 생식에 필요한 기관
수목의 세부구조
표피조직 / 코르크 조직 / 유조직 / 후각조직 / 후막조직 / 목부 / 사부
종류 | 기능 | 관련조직 또는 세포 | 비고 |
표피조직 | 식물 표면보호, 수분증발 억제 | 표피층, 털, 기공, 각피층, 뿌리털 | |
코르크조직 | 식물 표면보호, 수분증발 억제, 내화성 | 코르크층, 코르크 형성층, 수피, 피목 | * 굴참나무 * 피목 : 벚나무 |
유조직 | 원형질이 살아 있는 조직, 부정아 및 부정근 생성 등 대사작용 담당 |
생장점, 분열조직, 형성층, 수선, 동화조직, 저장조직, 저수조직, 동기조직 등의 유세포 | 살아있는 세포 그래서 뭔가를 만들어 내는 세포 |
후각조직 | 어린 목본 식물이 표면 가까이에서 지탱역할을 하는 특수한 형태의 유세포 |
엽병, 엽맥, 줄기 | 살아있음 |
후막조직 | 목본식물의 지탱역할을 담당, 세포벽이 두껍고, 원형질이 없음 |
호두껍질, 섬유세포 | 죽어있음 |
목부 | 수분 통도 및 지탱 | 도관, 가도관, 수선, 춘재, 추재 | 형성층에서 목재를 만들때 밖으론 사부 안으론 목부 |
사부 | 탄수화물 이동 및 지탱, 코르트 형성층의 기원 |
사관세포(사세포), 반세포 |
수목의 기본구조(잎)
피자식물 / 소나무 / 잣나무
구분 | 특징 |
피자식물 | 앞면 : 상표피, 뒷면 : 하표피 책상조직 : 조밀한 배열 = 광합성 굿 해면조직 : 흩어진 배열 = 가스확산 용이 상표피 방면 : 물관, 하표피 방면 : 체관 |
소나무 | 책상조직, 해면조직으로 분화 안됨 유관속 2개(중앙) |
잣나무 | 챙상조직, 해면조직 분화됨 유관속 1개(중앙) |
수목기본구조(줄기)
수피 / 변재 / 심재
* 수피 : 외수피(조피), 코르크층(주피), 체관(영양분이동), 형성층
* 변재 : 최근에 생산된 목부조직, 수분 많고 살아있는 조직
* 심재 : 오래전에 생산된 목부조직, 기름-gum-타닌 등이 축적되어 짙은색깔, 세포는 죽은상태, 지탱역할
수목기본구조(형성층)
* 형성층 발달과정
1. 전형성층 단계 : 유관속에만 형성층 생성
2. 간형성층 형성단계 : 유관속과 유관속 사이에 속간 형성층 생성
3. 유관속형성층 단계 : 원형의 유관속형성층 형성(2차 목부, 2차 사부 형성)
수목기본구조(목부)
춘재와 추재
* 춘재 : 봄에 형성 / 세포 지름 큼 / 세포벽 얇음(밝은색)
* 추재 : 여름, 가을에 형성 / 세포 지름 작음 / 세포벽 두꺼움 = 비중 큼(어두운색)
* 춘재+추재 = 나이테
* 주요특징 : 추재는 수간의 밑부분부터 발달 -> 옥신의 영향
=> 옥신은 위에서 아래로 움직이기 때문에 성장은 위부터 아래로 됨
=> 즉, 위는 봄철, 여름+가을은 아래이기에 추재는 수간의 밑부분부터 발달!
목조직의 종류
1. 산공재 : 춘재-추재 도관 크기 같음 : 단풍나무, 포플러, 피나무, 자작나무
2. 환공재 : 춘재와 추재의 도관 크기 차이 큼 : 참나무, 물푸레, 음나무, 느티나무
수목기본구조(뿌리)
뿌리골무(근관) / 분열대 / 신장대 / 분화대
1. 장근에서 기원된 단근은 형성층이 없어 직경생장 안함(1~2년 살다 죽음)
하지만 단근은 수분과 영양분 흡수 담당, 균근을 형성하는 세근이 됨
2. 근관-세포분열구역-세포신장구역-세포분화구역-뿌리털 순으로 형성
3. mucigel 분비 -> 토양미생물 활동유도, 윤활제 역할
4. 바깥부터 뿌리털-표피-피층-내피-내초-목부, 사부 순으로 이루어져 있음
댓글